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게시물에서는 상관관계 분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관관계 분석
두 변수의 관계에서 선형 관계에 초점을 두고 두 변수가, 선형 관계를 갖는지, 선형 관계를 갖는다면 어느 방향인지, 그리고 그 관계는 얼마나 큰지를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상관관계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은 상관관계 계수이며, 상관관계 계수는 -1부터 +1 사이의 값을 갖는다.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어떤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인과관계의 한 요건일 뿐이다. 즉, 상관관계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인과관계가 있다고 말 할 수 없다. 그러나 인과관계가 있다고 하기 위해서는 상관관계가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관관계는 인과관계의 충분조건은 아니지만 필요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상관관계 계수에는 몇 가지가 있는데 가장 보편적인 것은 PEARSON 상관계수이다.
모집단의 상관계수는 (rho)로 나타내며 표본의 상관관계계수는 r로 나타낸다.
+- 0.81 ~ +- 1.00 매우강함
+- 0.61 ~ +- 0.80 강함
+- 0.41 ~ +- 0.60 어느 정도 있음
+- 0.21 ~ +- 0.40 약함
+- 0.00 ~ +- 0.20 없음
서열 척도로 측정한 자료의 상관계수를 구하고자 하는 경우 SPEARMAN 서열 상관관계 계수를 계산해야 한다.
반응형
'경영지도사 > 마케팅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립성 검증, 적합도 검증, 분산분석 - 마케팅조사 (0) | 2021.05.07 |
---|---|
신뢰성과 타당성 - 마케팅조사 (0) | 2021.05.06 |
척도의 종류 - 마케팅조사 (0) | 2021.05.05 |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 외생변수 - 마케팅조사 (0) | 2021.05.04 |
비확률표본추출 - 마케팅조사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