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그 유명한 BCG 매트릭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BCG 매트릭스는 보스틴 컨설팅 그룹에서 만들어낸 모델로 기업의 사업부가 물음표, 별, 현금 젖소, 개 4개의 단계 중에 어느 단계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그에 따라 전략을 수립하는 모델입니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BCG 매트릭스의 정의
BCG 매트릭스란 사업 포트폴리오 분석의 한 방법인, 포트폴리오 매트릭스를 이용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BCG 매트릭스는 상대적 시장점유율과 시장 성장률을 기준으로 SBU를 평가하게 된다. 따라서 조직의 모든 SBU들은 상대적 시장점유율과 시장 성장률에 따라 매트릭스 상의 한 곳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기업은 이 기법을 사용하여, 어떤 사업에 자원을 할당해야 하는지에 대한 투자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게 된다. BCG 매트릭스는 상대적 시장점유율과 시장 성장률을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현금흐름을 이용한다.
유형별 특징
BCG매트릭스는 상대적 시장점유율과 시장 성장률을 기준으로 4개의 영역을 도출하게 되며 이 영역은 각각 물음표, 별, 현금 젖소, 개라고 명명한다. 또한 BCG 매트릭스는 이 4개의 영역을 제품 수명주기의 개념과 연결시켜 전략적 문제를 설명한다. 각 유형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ㅇ 물음표
: 야생고양이 또는 문제아 라고도 하는데, 시장 성장률은 높지만 시장점유율은 낮은 사업을 말한다. 제품 수명주기로 볼 때 도입기에 해당한다. 경쟁력이 있으면 자원투입을 확대하고 그렇지 않다면 자원투입을 축소하는 확대 또는 축소 전략이 실행될 수 있다. (안정화 전략 또한 가능)
ㅇ 별
: 시장성장률과 시장점유율이 높은 사업을 말한다. 제품 수명주기로 볼 때 성장기에 해당한다. 시장 예측에 기반을 두어 사업을 확장하고 자원을 추가 투입하는 확대 전략이 실행될 수 있다.
ㅇ 현금젖소
: 시장성장률은 낮지만 시장점유율은 높은 사업을 말한다. 제품 수명주기로 볼 때 성숙기에 해당한다. 자원투자를 최소화하며 보다 많은 현금흐름의 편익을 유지하는 안정화 또는 점진적 성장전략이 실행될 수 있다.
ㅇ 개
: 시장성장률이 낮고 시장점유율 또한 낮은 사업을 말한다. 자원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사업을 매각·청산하는 축소/철수 전략 이 실행될 수 있다.
* BCG 가 시장성장률을 시장 매력도를 반영하는 주요 변수로 선택한 이유는 시장 성장률이 높은 산업은 상표 애호도가 아직 형성되지 않은 신규 사용자들로 주로 구성되므로 시장점유율을 늘리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흔히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므로 높은 가격과 이익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 BCG가 상대적 시장점유율을 사업의 경쟁적 강점을 반영하는 변수로 선택한 이유는 시장점유율이 높은 기업이 규모의 경제, 높은 상표인지도, 유통지배력 등을 갖게 되며, 경쟁사보다 더 빠른 경험 누적으로 단위당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경험 곡선 효과에서 비롯된 것이다. 경험 곡선 효과는 누적 생산량이 2배로 늘 때마다 비용이 일정한 비율로 감소되는 현상이다.
'경영지도사 > 마케팅관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지도사 2차 시험준비 - 제품수명주기란? (PLC란?) (0) | 2021.03.19 |
---|---|
경영지도사 2차 시험준비 - GE 매트릭스란? (0) | 2021.03.19 |
경영지도사 2차 시험준비 - 본원적 전략이란? (0) | 2021.03.18 |
경영지도사 2차 시험준비 - 앤소프 제품-시장 매트릭스(성장전략) (0) | 2021.03.17 |
경영지도사 2차 시험준비 - 가치사슬분석 이란? (value chain) (0) | 2021.03.16 |